김기덕 감독 대종상 영화제 중도 퇴장 논란 ‘왜?’

대종상 시상식 도중 김기덕 중도 퇴장

그 이유가 궁금하다

[리뷰 걸이 말한다] 영화 피에타 김기덕 감독이 30일 서울 여의도 KBS홀에서 열린 제49회 대종상 영화제에 참석 도중 중도 퇴장해 특별상 수상자인데도 자리에 없어 황당한 사태가 빚어졌다.

무슨 서운함이 있었길래?

이날 대종상 영화제의 김기덕 감독은 레드카펫에도 모습을 드러냈으며 1부에서는 조민수의 옆에 앉은 모습이 카메라를 통해 포착되기도 했다.

그러나 2부에서 김기덕 감독이 심사위원 특별상 수상자로 호명되자마자 자리를 박차고 나갔으며 시상식 자리에 있던 모든 사람이 김 감독의 퇴장을 목격하고 당황했다.

영화 피에타 여주인공 조민수 김기덕 감독에 관해 인터뷰
영화 피에타의 여주인공 조민수가 김기덕 감독에 관해 인터뷰하고 있다.

대리 수상자로 나온 PD는 김기덕 감독이 시상식 도중에 퇴장한 이유에 관해

김기덕 감독님이 직접 올라오셔야 하는데, 몸이 안 좋아 자리를 비우셨다

고 설명했다.

피에타 김기덕 중도 퇴장 이유

하지만 대종상 영화제에서 김기덕 감독이 중도 퇴장한 진짜 이유는 세계 3대 영화제 중 하나인 제69회 베네치아국제영화제 최고상에 해당하는 황금사자상을 받은 쾌거를 이룬 영화 《피에타》가 국내 영화제에서 대접받지 못한 것에 대한 서운함의 표출이 아니냐는 추측들이 나오고 있다.

김기덕 피에타 영화
김기덕 피에타 영화

김기덕의 《피에타》 영화는 심사위원 특별상과 여우주연상을 받는 데 그쳐 김기덕 감독의 중도 퇴장은 대종상 영화제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고 말았다.

최우수 작품상과 감독상, 남우주연상, 남우조연상 등 총 15개 부문이 천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에게 집중해 상을 준 이번 대종상 영화제는 요란한 속이 빈 강정처럼 유명무실한 영화제임을 입증해준 셈이 됐다.

영화 광해 포스터

대종상 논란 불러일으킨 광해, 왕이 된 남자

《광해, 왕이 된 남자》는 개봉 7주 차를 맞으면서도 여전히 상승세를 이어나가고 있으며 1,100만 관객 돌파라는 기록을 세웠지만, 상반기에 1,300만 명 관객 돌파를 기록한 영화 《도둑들》은 후보에도 거의 오르지 않았을뿐더러 여우조연상에 배우 김해숙이 받는 것 외에 전혀 없는 기록을 남기는 등 대종상 시상식에 관한 공정성 논란이 크다.

김기덕 감독은 영화 《피에타》 수상 소감에서

메이저 영화의 독식

이라는 말을 하며 대형 배급사의 횡포를 지적한 바가 있다.

김기덕 감독 영화 피에타

영화의 작품성 및 내용 등은 무시한 채 흥행 결과에만 치우쳐 시상식을 남발한 대종상 영화제라니 김기덕 중도 퇴장 이유가 공감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한국 영화가 이래서 더 큰 발전을 못 하는 것이라는 것을 느끼게도 한다.

대종상 공정성 논란

네티즌은

자본에 잠식된 할리우드도 시상식을 이렇게는 안 한다

대종상 시상식을 대중상 시상식으로 명칭 바꿔라. 흥행작만 상 받는 시상식

이라고 반응했다.

저작권자 ⓒ 리뷰 걸이 말한다, 무단 복사, 전재 및 배포 금지